-
[파이어족]목표 4단계로 준비하라/한국형 파이어족파이어족 Fire movement 2020. 3. 23. 16:34
[파이어족, FIRE movement]는 미국 고소득자 중심으로 2008년 금융위기를 계기로 확산 된 운동인데,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20대 초반부터 악착같이 절약해서 수입의 70~80%를 모아 이른 은퇴를 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이들은 1년 생활비의 25배를 모아서 그 돈을 종잣돈으로 투자를 하고 그 수익금으로 평생을 생활하는 방법과 정보를 나누고 계획한다. 은퇴 후에는 경제적인 제약을 덜 받으면서 하고 싶은 일들을 하며 남은 인생을 행복하게 살아가는 데 최종적인 목적을 둔다.
미국에서는 파이어족으로 은퇴하기 위한 최소 금액을 100만불, 즉 11억이상으로 잡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사회 진출도 늦은 편인데 10억이라는 목돈을 40세 이전에 마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래서 내가 선택한 방법은 어느정도 목돈을 만들고 그 목돈으로 적절히 투자해서 현금흐름이 나오게 만든 후 은퇴하여 좀 쉬면서 내가 하고 싶었던 일들을 하면서 삶을 누리는 방법을 택했다.
상사나 동료, 고객때문에 힘들어도 월급 때문에 견뎌야 하는 일이 아닌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더라도 돈의 제제르 덜 받으면서 주변사람들과 건강도 챙기면서 살아가는 그런 따뜻한 삶을 추구 한다.
이런 방법을 [한국형 파이어족]이라고 부른다.
그러면 이런 <한국형 파이어족이 되는 4단계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첫째 : 고정비를 줄이고 지출컨트롤을 한다.
은퇴 후 첫번째 허들은 수입이 끊겨도 매월 나가야 하는 고정 비용이다. 현금 흐름이 없는 상태라면 매월 나가는 고정비용이 높다는 것은 가지고 있는 금액으로 생활할 수 있는 기간디 줄어든다는 말과 같기 때문이다.
이 부분은 미리 준비하면 어느정도 걱정을 덜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험과 적금은 만기시점을 은퇴시점 전으로 정해야 한다. 비용이 큰 보험 중 만료기간이 많이 남은 보험이 있다면 보함 납부기간을 조정하든지 은퇴시점을 늦추든지 하는 편이 부담이 적다.
이렇게 고정비용을 본인이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낮추고 검소한 삶을 추구한다면 조기 은퇴에 필요한 목돈이 생각보다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둘째 : 일정금액의 목돈을 모아야 한다.
돈을 모을 때 어느정도 김액까지는 투자를 하지 말고 그냥 적금이나 예금으로 모으는 것을 추천한다. 약 1억까지는 돈만 모아본다. 어트정도 투자에 대한 확신이 들때까지는 목돈으로 모아두고 투자에 대한 확신이 들면 그때부터 현금흐름을 위한 파이프라인을 하나씩 만들어 나가면 된다.
셋째 : 목돈을 모으면서 경제 공부, 투자공부를 반드시 미리 시작하라.
목돈을 모았는데 투자 공부가 되어 있지 않은 사람들이 가장 위험하다. 꼭 사기가 아니더라도 잘못된 투자로 큰 금액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부모님세대에서 투자나 사업에 대해 기본지식이 전무한데 퇴직금이라는 큰 돈이 수중에 들어도게 되면 무언가 해야한다는 부담감으로 퇴직금을 날려 버리고 궁핍한 노후를 보내는 사람을 많이 보았다.
자본주이에 살면 자본주의가 뭔지는 반드시 알아야 나의 자산을 지킬 수 가 있다. 자산을 지켜야 불릴 수 있는 기회도 있기 마련이다.
자본주의 역사, 환율과 유가와의 관계, 주식, ETF, 채권 등 책을 통해서 기본 개념을 잡고 좋은 강의가 있으면 찾아서 듣는다. 투자에 대한 확신이 들때까지 공부만 하는 것이 좋다. 공부를 하다보면 지나간 기회들이 아깝고 다시 그런 기회가 안올것 같지만 경기는 항상 순환한다. 내가 공부가 되어 있고 준비(목돈마련)를 하고 있으면 기회는 항상 있다. 서두르지 말자.
넷째 : 수입의 다각화,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기 시작한다.
파이어족에게 은퇴 후의 현금흐름은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현금흐름을 다각화 시켜 놓아야 한다. 같은 금액의 수입이라도 다양한 곳에서 조금씩 현금흐름이 발생하게 파이프라인을 구축해야 확장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 월급을 받는 직장인들처럼 수입의 90%이상이 한곳에서 발생한다면 만약 그 파이프라인이 막히면 생활을 지속할 수가 없다. 따라서 조금씩이라도 다양한 현금흐름을 위해 파이프라인을 다각화하는 작업은 시간을 들여서 반드시 해야하는 중요한 작업이다.
이제는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사라진지도 한참되었다. N-jober엔잡러/ 긱(gig)이코노미 등 요즘 젊은이들에게는 그리 낮선 단어도 아닐 것이다. 더구나 SNS가 발달해서 새로운 직업군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런 분야에 조금씩 관심을 두면서 내가 들어가야 할 곳을 찾아보자.
기본적으로 파이어족은 돈을 벌고 아껴쓰고 투자공부를 해서 투자를 하고 자신의 재능으로 파이프라인을 만들고 점점 자신의 통제권을 찾아오는 일련의 과정들이라고 할 수 있다. 경제적 자립을 기본 목표로 시작하지만 결국에는 삶의 방향, 라이프 스타일을 어떻게 정할 것인가로 귀결되어 돈을 바탕에 깔고 그 위에 나만의 삶을 영위해 가는 좀 더 자기 삶에 적극적인 라이프스타일이라 할 수 있다.
'파이어족 Fire move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어족 목표금액 계산공식]목표금액을 계산해 보아요 (0) 2020.04.06 [파이어족]이 되기를 추천하는 사람 (0) 2020.03.31 [파이어족] 순자산 10억? 순자산이란? (0) 2020.03.14 [파이어족]한국형 FIRE movement vs 미국형 FIRE movement (0) 2020.03.13 파이어족의 노후보장 근거는 무엇일까? (0) 2020.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