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뜻?investment 2020. 3. 17. 17:15
우선,
[#인플레이션(Inflation)] 의 정의란?
화페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전반적.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현상. 그리고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도 인플레이션(Inflation)이라고 한다. 광범위한 초과수요가 존재하는 상태이다.
[#디플레이션(Deflation)] 이란 무엇인가?
통화량의 축소에 의해 물가가 하락하고 경제활동이 침체되는 현상.
디플레이션은 광범위한 초과공급이 존재하는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디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면 물가는 내리고 기업의 수익은 감소하며 경제는 전체적으로 불황에 빠지게 된다.디플레이션은 순환디플레이션(호황과 불화의 교대와 더불어 일어남)과 정책적 디플레이션(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정책)이 있다.
이도저도 아닌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이란 무엇?
경제불황 속에서 물가도 상승하는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상태.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많이 심한것은 #슬럼프플레이션(slumpflation) 이라고도 한다.
인플레이션(Inflation)은 통화공급량이 증가하면 시중에 돈이 풍부해지므로 상품에 대한 수요가 전반적으로 늘어나는데 이때 상품의 수요가 중가한 만큼 상품의 공급이 늘어나지 못하면 물가가 상승하게 된다.
인플레이션을 많이 들어보아서 인플레이션 때문에 월급만 쪼그라든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적당한 인플레이션은 사회와 기업, 가정에 모두 좋은 영향을 미친다. 물가가 오른다는 사실면에서만 보면 싫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어제 내가 산 재화나 서비스가 오늘 보니 가격이 더 올랐다면 어제 내가 잘 산 것처럼 느껴지고 만족감이 든다. 앞으로도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 예상되어 하루라도 빨리 소비를 하려고 하니 소비가 촉진되어 경제가 원할하게 돌아간다. 수요가 많으니 기업도 더 많은 제품을 만들어야 하고, 직원고용도 늘어나고, 월급도 올라가는 선순환이 이루어진다. 모두가 좋아하는 발전하는 사회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적절한 인플레이션은 좋은 점이 많은데 급격한 인플레이션이 문제를 일으킨다.
급격히 오르는 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의 헤택을 보는 사람과 그렇지 못하는 사람의 부의 차이를 점점더 크게 벌려 놓는다.
#종이화폐 를 많이 발행하는 요즘 사회에서는 인플레이션이 필히 동반되는데 그렇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을 대비하는 투자대상을 공부하고 투자해야하는 것은 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기본이라 할 수 있다.
적어도 인플레이션만큼은 따라가야 제자리인 것을 명심하자.
'invest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 서머타임이란? DST? 시행? 해제? 개장시간, 운용기간을 알아보자. (0) 2021.03.14 세계에서 나의 부자순위는?(내 연봉 or 재산으로 알아보는) (0) 2021.01.23 미, 연준 1% 또다시 금리인하 / 제로금리 0.00~0.25% (0) 2020.03.16 [미국주식]서머타임 기간? 주식 개장시간? (0) 2020.03.09 인덱스 펀드(INDEX fund) 뜻? 종류? 미국주식 인덱스펀드? (0) 2020.03.08